포항 환동해지역본부가 속빈강정 안되려면
페이지 정보
경북신문 작성일18-02-22 19:57본문
포항 환동해지역본부가 21일 공식 개청했다. 경북도는 이날 포항테크노파크 제2벤처동 앞마당에서 김관용 도지사와 지역 국회의원, 동해안 5개시장·군수, 지역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환동해지역본부 개청식을 열었다.
신청사는 내년 말에 포항시 흥해읍 이인리 경제자유구역청 내에 건립될 예정이며 250억원을 투입해 부지면적 3만3천㎡, 건축 연면적 8천800㎡ 규모로 올해 하반기 착공에 들어간다.
환동해지역본부는 경북도청이 2016년 2월 대구에서 안동으로 이전함에 따라 동해안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동남권 100만 주민의 행정수요에 신속 대응하며 21세기 해양시대를 선점하고자 지난해 11월29일 행정안전부로부터 조직승인을 받아 지난 1월 탄생했다. 환동해지역본부는 책임자를 2급 본부장으로 하는 1본부 2국 7과 2사업소로 본부장 직속 종합행정지원과, 동해안전략산업국에 동해안정책과, 에너지산업과, 원자력정책과를, 해양수산국에 해양수산과, 항만물류과, 독도정책과, 기존 수산자원연구관련 2개 사업소를 포함해 총 175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날 개청식을 지켜본 동해안 주민들의 마음은 한마디로 착잡했다. 경북도청이 안동으로 이전한 이후 2년여 만에 모습을 드러낸 환동해지역본부가 한마디로 초라했기 때문이다. 이런저런 이유로 청사가 마련되지 않아 임시로 이전한 것은 둘째로 치더라도 조직의 모습과 권한, 역할이 외형은 갖추었으나 실질적 권한이 없는, 한마디로 속빈강정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김관용 도지사의 민선6기 공약사업이기도 한 환동해지역본부 설치가 마지못해 이뤄진 결정이지 진정 주민들의 불편해소를 위한 결정이 아니라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환동해지역본부가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제2청사로 대접받기 위해서는 우선 이곳에서 실질적인 행정업무가 이뤄져야 한다. 즉 예산 조직, 홍보, 어느 하나 독립적으로 추진 할 수 없는 상황을 타개해 주민들의 민원과 관련된 업무는 모두 처리할 수 있는 조직과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특히 지역본부의 홍보 기능이 본청에 예속된 것은 넌센스다. 지역과 밀접한 업무를 수행한다는 지역본부 신설 취지를 못 살릴 뿐 아니라 업무 효율측면에서도 불합리하다. 사업이 펼쳐진 현장이 동해안 지역인데 절차 및 결과 확인은 본청으로 해야 하는 업무시스템을 이해할 주민이 몇이나 되겠는가를 따져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경북도와 정치권은 환동해지역본부의 역할과 권한을 심각히 고민해야 한다. 본부의 설치 취지를 이해한다면 적어도 민원과 관련된 업무는 2시간 거리에 있는 안동 본청까지 가지 않더라도 대부분은 현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종합민원실 시스템을 갖추는 일이 우선돼야 한다. 동해안 주민들도 법률개정이 필요한 제2청사화는 중장기적인 과제로 남겨두고 우선 민원처리 불편을 줄이는 방향으로 업무개선을 요구하는데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신청사는 내년 말에 포항시 흥해읍 이인리 경제자유구역청 내에 건립될 예정이며 250억원을 투입해 부지면적 3만3천㎡, 건축 연면적 8천800㎡ 규모로 올해 하반기 착공에 들어간다.
환동해지역본부는 경북도청이 2016년 2월 대구에서 안동으로 이전함에 따라 동해안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동남권 100만 주민의 행정수요에 신속 대응하며 21세기 해양시대를 선점하고자 지난해 11월29일 행정안전부로부터 조직승인을 받아 지난 1월 탄생했다. 환동해지역본부는 책임자를 2급 본부장으로 하는 1본부 2국 7과 2사업소로 본부장 직속 종합행정지원과, 동해안전략산업국에 동해안정책과, 에너지산업과, 원자력정책과를, 해양수산국에 해양수산과, 항만물류과, 독도정책과, 기존 수산자원연구관련 2개 사업소를 포함해 총 175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날 개청식을 지켜본 동해안 주민들의 마음은 한마디로 착잡했다. 경북도청이 안동으로 이전한 이후 2년여 만에 모습을 드러낸 환동해지역본부가 한마디로 초라했기 때문이다. 이런저런 이유로 청사가 마련되지 않아 임시로 이전한 것은 둘째로 치더라도 조직의 모습과 권한, 역할이 외형은 갖추었으나 실질적 권한이 없는, 한마디로 속빈강정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김관용 도지사의 민선6기 공약사업이기도 한 환동해지역본부 설치가 마지못해 이뤄진 결정이지 진정 주민들의 불편해소를 위한 결정이 아니라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환동해지역본부가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제2청사로 대접받기 위해서는 우선 이곳에서 실질적인 행정업무가 이뤄져야 한다. 즉 예산 조직, 홍보, 어느 하나 독립적으로 추진 할 수 없는 상황을 타개해 주민들의 민원과 관련된 업무는 모두 처리할 수 있는 조직과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특히 지역본부의 홍보 기능이 본청에 예속된 것은 넌센스다. 지역과 밀접한 업무를 수행한다는 지역본부 신설 취지를 못 살릴 뿐 아니라 업무 효율측면에서도 불합리하다. 사업이 펼쳐진 현장이 동해안 지역인데 절차 및 결과 확인은 본청으로 해야 하는 업무시스템을 이해할 주민이 몇이나 되겠는가를 따져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경북도와 정치권은 환동해지역본부의 역할과 권한을 심각히 고민해야 한다. 본부의 설치 취지를 이해한다면 적어도 민원과 관련된 업무는 2시간 거리에 있는 안동 본청까지 가지 않더라도 대부분은 현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종합민원실 시스템을 갖추는 일이 우선돼야 한다. 동해안 주민들도 법률개정이 필요한 제2청사화는 중장기적인 과제로 남겨두고 우선 민원처리 불편을 줄이는 방향으로 업무개선을 요구하는데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