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원전해체센터 한곳으로 힘 모아야
페이지 정보
경북신문 작성일14-09-23 20:52본문
원전해체가 관련업계의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면서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 유치경쟁이 뜨겁다.
경주시는 22일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경주유치위원회(이하 원해체센터 유치위) 사무국을 경주시청 내에 설치하고 개소·현판식을 열었다.
현재 원전해체기술센터 유치에는 부산과 울산, 경남, 전남, 전북, 강원 등 광역단체들이 주로 나서고 있으나 유독 경북만은 기초자치단체들이 유치전에 뛰어들었거나 뛰어들 태세다.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는 원전시설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핵폐기물 처리 등 원전 해체에 대한 기술을 개발하거나 검증하는 기관이다.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 유치전은 지난 4월 기획재정부가 예비타당성 대상사업으로 선정되면서 촉발됐다. 세계적으로 해체 대기 중인 원전은 122기, 2050년엔 430기로 추산된다. 원전해체 시장규모는 2030년 5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세계시장 선점을 통한 성장산업으로 손색이 없다.
문제는 경북도내 지자체 여러 곳이 너도나도 유치전에 기웃 거리고 있다는데 있다. 경주시는 원전과 방폐장, 한수원 본사가 위치한 만큼 원전해체센터 입지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다. 김천시는 한국전력기술이 김천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것을 이유로 내세운다. 울진과 영덕, 포항도 조만간 유치전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원전해체센터 유치노력은 부산시가 가장 활발하다. 지방선거 당시 시장의 공약사항이기도 하거니와 고리원전 부근 동남권 방사선의과학단지에 3만3천㎡의 부지를 확보하고 원전관련기업의 집적화를 추진 중이다. 특히 고리원전 해체를 전제로 사업을 추진 중이어서 시민들의 호응도도 높다.
원전해체기술센터를 반드시 유치해야 된다는 측면에서 보면 경북의 전략은 낙제점이다. 기초지자체 단위로 나서다 보니 타 지역에 비해 추진 동력이 현저히 떨어질 것임은 자명하다. 시·군별 의견조율이 안돼 자중지란을 일으키고 있으니 전략이라고 말할 수도 없다.
경북도의 태도는 더욱 한심하다. 사정이 이런데도 경북도는 동해안원자력벨트에 원전해체센터가 와야 한다는 당위성만 앞세운 채 각 지자체의 유치전을 수수방관하고 있다.
해양실크로드도 좋고 새마을운동 세계 확산도 좋지만 블루오션이라면 유치전을 남의 집 불구경 하듯 할 수는 없다. 부산시와 울산시가 컨소시엄을 만들어 공동유치에 나설 것이란 설이 나 도는 것도, 기장군이 범군민 유치위원회를 출범 시킨 것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경북도는 지금이라도 시·군 의견조율에 나서 한곳으로 힘을 모으고 유치전에 임하는 전략을 가다듬는 것이 마땅하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경주시는 22일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경주유치위원회(이하 원해체센터 유치위) 사무국을 경주시청 내에 설치하고 개소·현판식을 열었다.
현재 원전해체기술센터 유치에는 부산과 울산, 경남, 전남, 전북, 강원 등 광역단체들이 주로 나서고 있으나 유독 경북만은 기초자치단체들이 유치전에 뛰어들었거나 뛰어들 태세다.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는 원전시설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핵폐기물 처리 등 원전 해체에 대한 기술을 개발하거나 검증하는 기관이다.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 유치전은 지난 4월 기획재정부가 예비타당성 대상사업으로 선정되면서 촉발됐다. 세계적으로 해체 대기 중인 원전은 122기, 2050년엔 430기로 추산된다. 원전해체 시장규모는 2030년 5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세계시장 선점을 통한 성장산업으로 손색이 없다.
문제는 경북도내 지자체 여러 곳이 너도나도 유치전에 기웃 거리고 있다는데 있다. 경주시는 원전과 방폐장, 한수원 본사가 위치한 만큼 원전해체센터 입지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다. 김천시는 한국전력기술이 김천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것을 이유로 내세운다. 울진과 영덕, 포항도 조만간 유치전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원전해체센터 유치노력은 부산시가 가장 활발하다. 지방선거 당시 시장의 공약사항이기도 하거니와 고리원전 부근 동남권 방사선의과학단지에 3만3천㎡의 부지를 확보하고 원전관련기업의 집적화를 추진 중이다. 특히 고리원전 해체를 전제로 사업을 추진 중이어서 시민들의 호응도도 높다.
원전해체기술센터를 반드시 유치해야 된다는 측면에서 보면 경북의 전략은 낙제점이다. 기초지자체 단위로 나서다 보니 타 지역에 비해 추진 동력이 현저히 떨어질 것임은 자명하다. 시·군별 의견조율이 안돼 자중지란을 일으키고 있으니 전략이라고 말할 수도 없다.
경북도의 태도는 더욱 한심하다. 사정이 이런데도 경북도는 동해안원자력벨트에 원전해체센터가 와야 한다는 당위성만 앞세운 채 각 지자체의 유치전을 수수방관하고 있다.
해양실크로드도 좋고 새마을운동 세계 확산도 좋지만 블루오션이라면 유치전을 남의 집 불구경 하듯 할 수는 없다. 부산시와 울산시가 컨소시엄을 만들어 공동유치에 나설 것이란 설이 나 도는 것도, 기장군이 범군민 유치위원회를 출범 시킨 것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경북도는 지금이라도 시·군 의견조율에 나서 한곳으로 힘을 모으고 유치전에 임하는 전략을 가다듬는 것이 마땅하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