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富農구조' 정착, 新산업모델로
페이지 정보
경북신문 작성일15-04-27 20:11본문
경북도의 농가소득은 늘면서 농가 부채는 급감하는 등 경북도내 농가가 전형적인 부농(富農)구조를 보이고 있다. 장기불황 시대에 경북도의 이 같은 농촌경제 지형의 탈바꿈은 1차 산업의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농업모델로 각광받기에 충분하다.
지난 24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경북도의 지난해 농가 평균소득은 3천698만7천원으로 2011년 2천658만7천원에 비해 무려 39%, 2013년 3천489만4천원보다는 209만3천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가소득 중 순수 영농활동에 따라 창출되는 가구당 농업소득은 압도적이다. 지난해 농업소득은 1천583만6천원으로 전국 평균 1천30만3천원 보다 54%, 타 지자체와 비교할 때 최고 2.3배 가까이 더 높은 것이어서 '웅도 경북, 대한민국 제1의 농도'로서의 위상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반면, 가구당 농가부채는 크게 줄었다. 농가부채는 전국평균 51만5천원이 늘었으나 경북은 2013년도 1천767만1천원보다 230만원 줄어든 1천537만1천원으로 조사돼 전국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 농가부채액 2천787만8천원의 절반 수준(55.1%)밖에 안 돼 '소득은 늘고 빚은 줄고 있는' 건전 영농구조로 급격히 이동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경북도는 귀농가구 수에서도 10년 연속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농촌의 이런 경제적인 풍요로움이 크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귀농가구 현황을 보면 전국적으로는 전년보다 2.7% 줄었으나, 경북은 오히려 0.2% 늘어나 경북의 귀농환경이 전국 최고임을 여실히 드러냈다. 부농(富農)도 전국에서 제일 많다. 2012년 소득 억대 농가는 경북이 6천242명으로 전국 1만7천291명의 37%를 차지했으니 경북으로의 귀농 행렬이 길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경북도는 그동안 농가소득 향상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농업생산기반 고도화를 통해 생산비를 절감하고 생산량을 증대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또 전국에서 선도적으로 농업 6차 산업화를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소득을 향상시켰으며,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농업외소득 증대 방안도 함께 마련해 추진했다. 인력양성에도 힘을 기울여, 경북 농민사관학교를 운영해 농업전문CEO 1만1천명을 배출했고, 미래 농업을 이끌어갈 후계농업인도 2만4천명 양성해 농촌 곳곳에 젊은 활력을 불어넣는 등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
농가소득이 높다는 것은 경북이 갖고 있는 특별한 경쟁력이다. 특히 귀농 연령대도 30~50대가 대부분이라 앞으로 생산력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여기에다 경북은 기업유치에서도 남다른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경북은 이제 부농(富農)을 무기로 '창조 경제'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기에 충분하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지난 24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경북도의 지난해 농가 평균소득은 3천698만7천원으로 2011년 2천658만7천원에 비해 무려 39%, 2013년 3천489만4천원보다는 209만3천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가소득 중 순수 영농활동에 따라 창출되는 가구당 농업소득은 압도적이다. 지난해 농업소득은 1천583만6천원으로 전국 평균 1천30만3천원 보다 54%, 타 지자체와 비교할 때 최고 2.3배 가까이 더 높은 것이어서 '웅도 경북, 대한민국 제1의 농도'로서의 위상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반면, 가구당 농가부채는 크게 줄었다. 농가부채는 전국평균 51만5천원이 늘었으나 경북은 2013년도 1천767만1천원보다 230만원 줄어든 1천537만1천원으로 조사돼 전국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 농가부채액 2천787만8천원의 절반 수준(55.1%)밖에 안 돼 '소득은 늘고 빚은 줄고 있는' 건전 영농구조로 급격히 이동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경북도는 귀농가구 수에서도 10년 연속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농촌의 이런 경제적인 풍요로움이 크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귀농가구 현황을 보면 전국적으로는 전년보다 2.7% 줄었으나, 경북은 오히려 0.2% 늘어나 경북의 귀농환경이 전국 최고임을 여실히 드러냈다. 부농(富農)도 전국에서 제일 많다. 2012년 소득 억대 농가는 경북이 6천242명으로 전국 1만7천291명의 37%를 차지했으니 경북으로의 귀농 행렬이 길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경북도는 그동안 농가소득 향상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농업생산기반 고도화를 통해 생산비를 절감하고 생산량을 증대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또 전국에서 선도적으로 농업 6차 산업화를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소득을 향상시켰으며,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농업외소득 증대 방안도 함께 마련해 추진했다. 인력양성에도 힘을 기울여, 경북 농민사관학교를 운영해 농업전문CEO 1만1천명을 배출했고, 미래 농업을 이끌어갈 후계농업인도 2만4천명 양성해 농촌 곳곳에 젊은 활력을 불어넣는 등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
농가소득이 높다는 것은 경북이 갖고 있는 특별한 경쟁력이다. 특히 귀농 연령대도 30~50대가 대부분이라 앞으로 생산력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여기에다 경북은 기업유치에서도 남다른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경북은 이제 부농(富農)을 무기로 '창조 경제'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기에 충분하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