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의료계총파업, 파국은 막아야 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북신문 작성일20-08-23 19:01 조회5,779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최일선 방역을 책임져야할 의료계가 뿔났다. 의료계 파업예고는 수도권에 코로나19가 재확산으로 인해 전국에 전파가 우려되는 엄중한 상황에 큰 걱정거리가 아닐 수 없다. 정부로서는 코로나19 퇴치를 위한 방역은 당장에 발등에 불이 떨어져 대책에 부심하고 있다.
바이러스 전염병인 코로나19는 올 연초부터 전국적으로 전파되면서 의료진들은 밤잠을 설쳐가면서 혹사를 당했다. 만약 의료진의 희생과 봉사가 없었다면 우리나라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코로나 천국이 되었을런지도 모른다.
우리나라 의료진은 코로나 사태를 가장 잘 극복한 나라로 정평 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진도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런 의료진이 파업으로 인해 병의원이 진료에 차질을 빚게 될 때 그 피해는 엄청나 큰 걱정거리 되고 있다. 코로나 방역의 최전선에 있는 의료계의 총파업 사업사태는 예견된 일이지만 막지 못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하지만 이번 파업은 전공의를 시작으로 26일부터는 의사협회와 전임의들까지 집단행동을 예고한 상황이다. 파국을 막기 위한 의정 대화가 간간이 이어지고 있지만, 아직 입장 차가 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최대 쟁점은 의사 수를 해마다 4백 명씩, 10년간 4천 명 늘린다는 의대 정원 확대 발표이다.
정부는 공공 의료의 확충, 특히 지역 의료 격차 해소를 위해선 증원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의료계는 의사의 수보다는 질의 문제이며, 졸속 추진은 해법이 아니라는 입장이여서 의견차이가 크다. 의료계는 한방 첩약의 급여 화와 공공 의대 설립 정책 역시 우선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아쉬운 건 왜 하필 이 시점에 이런 민감한 문제가 불거졌느냐 하는 점이다.
의료계의 거센 반발이 예견됐던 사안인데도 충분한 의견 수렴 없이 정책을 서둔 점은 여러모로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오죽하면 이 와중에 파업까지 나섰겠느냐는 의사들의 주장을 그냥 흘려보낼 수 없는 이유다. 의료계 역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로 삼고 있다는 비판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코로나 19가 급속도로 확산하는 위기 상황에서 일단은 코로나 수습이 먼저이다. 우리나라가 그나마 코로나와의 싸움에서 선전해온 데는 의료진의 헌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의료진이 방역의 최전선에서 코로나와 싸우고 있다. 정부와 의료계가 보다 책임감을 갖고 이번 사태에 임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해법은 '선 코로나, 후 대화' 원칙이다.
서로 한발씩 물러서 타협점을 찾되, 합의가 안 되면 시간을 늦춰서라도 파국은 면해야 한다. 의료계가 총파업을 예고한 26일까지는 얼마 남지 않았다. 정부와 의료계는 서로 손을 맞잡고 바이러스 전염병 코로나19에 지쳐있는 국민들의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데 팔을 걷어야 한다.
바이러스 전염병인 코로나19는 올 연초부터 전국적으로 전파되면서 의료진들은 밤잠을 설쳐가면서 혹사를 당했다. 만약 의료진의 희생과 봉사가 없었다면 우리나라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코로나 천국이 되었을런지도 모른다.
우리나라 의료진은 코로나 사태를 가장 잘 극복한 나라로 정평 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진도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런 의료진이 파업으로 인해 병의원이 진료에 차질을 빚게 될 때 그 피해는 엄청나 큰 걱정거리 되고 있다. 코로나 방역의 최전선에 있는 의료계의 총파업 사업사태는 예견된 일이지만 막지 못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하지만 이번 파업은 전공의를 시작으로 26일부터는 의사협회와 전임의들까지 집단행동을 예고한 상황이다. 파국을 막기 위한 의정 대화가 간간이 이어지고 있지만, 아직 입장 차가 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최대 쟁점은 의사 수를 해마다 4백 명씩, 10년간 4천 명 늘린다는 의대 정원 확대 발표이다.
정부는 공공 의료의 확충, 특히 지역 의료 격차 해소를 위해선 증원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의료계는 의사의 수보다는 질의 문제이며, 졸속 추진은 해법이 아니라는 입장이여서 의견차이가 크다. 의료계는 한방 첩약의 급여 화와 공공 의대 설립 정책 역시 우선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아쉬운 건 왜 하필 이 시점에 이런 민감한 문제가 불거졌느냐 하는 점이다.
의료계의 거센 반발이 예견됐던 사안인데도 충분한 의견 수렴 없이 정책을 서둔 점은 여러모로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오죽하면 이 와중에 파업까지 나섰겠느냐는 의사들의 주장을 그냥 흘려보낼 수 없는 이유다. 의료계 역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로 삼고 있다는 비판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코로나 19가 급속도로 확산하는 위기 상황에서 일단은 코로나 수습이 먼저이다. 우리나라가 그나마 코로나와의 싸움에서 선전해온 데는 의료진의 헌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의료진이 방역의 최전선에서 코로나와 싸우고 있다. 정부와 의료계가 보다 책임감을 갖고 이번 사태에 임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해법은 '선 코로나, 후 대화' 원칙이다.
서로 한발씩 물러서 타협점을 찾되, 합의가 안 되면 시간을 늦춰서라도 파국은 면해야 한다. 의료계가 총파업을 예고한 26일까지는 얼마 남지 않았다. 정부와 의료계는 서로 손을 맞잡고 바이러스 전염병 코로나19에 지쳐있는 국민들의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데 팔을 걷어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