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3천억 규모의 `국가 로봇 테스트필드 혁신사업 부지` 유치
페이지 정보
박정수 작성일21-08-15 15:02본문
↑↑ 국가 로봇 테스트필드 조감도. 사진제공=대구시
[경북신문=박정수기자] 사업비 3000억원 규모의 대형 국책 사업인 '국가 로봇 테스트필드' 부지가 대구로 결정됐다.
대구시는 '국가 로봇 테스트필드 혁신사업' 부지선정 결과 대구시가 사업 최종지역으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이번 혁신사업에 서울·부산·대구·광주·경남·충남 등 6개 광역시도가 치열한 경합을 벌인 결과 최종적으로 대구의 테크노폴리스로 선정됐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 혁신사업은 2023년부터 2029년까지 7년에 걸쳐 총사업비 3000억원을 들여 로봇 데이터 센터구축 및 테스트필드 구축(1600억원)과 서비스로봇 공통기반기술개발(1400억원)를 지원하는 대형국책사업이다.
앞서 이번 사업 전담 수행기관인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지난 6월 21일부터 공정한 사업 부지 선정위해 지자체 대상의 공모 방식을 채택해 선정 과정을 진행했다.
부지선정평가위원회는 "입지조건, 지자체 지원 등 평가 항목 전반에서 대구가 높게 평가했다"며 선정이유를 밝혔다.
손웅희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은 “대구시와 긴밀히 협력해 실제 환경과 유사한 실증 테스트 환경과 디지털화 기반 마련을 통해 초기 국내 서비스로봇 시장의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 국가로봇 테스트필드 구축 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가 대구에 구축되면 로봇기업의 연구개발→실증·규제개선(5G기반 첨단제조로봇실증, 규제자유특구)→테스트베드(국가로봇테스트필드)→사업화지원 등 전 주기 로봇기업 지원체계가 구축돼 명실상부한 로봇산업 중심도시로 우뚝설 전망이다.
시는 국가로봇테스트필드의 활성화와 서비스 로봇산업의 발전을 위해 새로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대구시청 신청사와 도심융합특구를 로봇, 자율주행, AI 등이 융합된 실환경 테스트필드로 제공한다.
또 서비스로봇 실증 경진대회 등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 로봇 비즈니스 모델로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현대로보틱스 등 앵커기업을 중심으로 전·후방 대·중·소 로봇기업 협력 생태계를 강화해 지역 기업의 서비스 로봇 산업 진출을 지원한다.
글로벌 로봇 클러스터(GRC)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해외기업의 국내 유치와 국내기업의 해외 진출 등 성과 창출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시는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사업이 마무리되면, 2030년까지 지역 로봇기업수 662개사, 고용 1만1799명, 매출액 4조1000억원 규모로 성장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국가로봇테스트필드 혁신사업의 대구 유치는 그동안 대구시에서 로봇산업 육성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갖고 로봇산업 생태계 조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것에 대한 열매"라며 "국가차원에서의 인정과 격려에 대해 엄중한 책임감을 느끼며 국가의 로봇산업 발전에 경북과 상생협력을 통해 기여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로봇산업 육성을 위해 한국로봇산업진흥원유치(2010년), 로봇산업클러스터 조성(2012~2017년), 현대로보틱스 유치(2017), 글로벌 로봇 클러스터(GRC)구축 및 사무국유치(2018), 5G기반 첨단제조로봇 실증센터 구축(2020~2023),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2020년 7월~)를 추진했다.
또 로봇산업 시장창출 및 부품경쟁력강화 사업(2015~2019, 188억원), 로봇산업 가치사슬 확장 및 상생시스템 구축(2020~2024, 267억원)을 전액 시비로 추진하는 등 앞서 구축된 인프라와 로봇산업 생태계 조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시는 국가로봇테스트필드 혁신사업 유치를 위해 홍의락 경제부시장을 단장으로 유치계획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로봇테스트필드 혁신사업의 대구 유치를 위해 산·학·연·관 일심동체로 함께 뛰었다.
50억원을 출연한 현대로보틱스와 아진엑스텍 등 360여개 넘는 로봇관련 기업·기관들의 참여협력과 함께 경북도의 전폭적인 지지의사 표명과 달성군의 지방비 20억원의 출연은 대구시의 유치 추진에 큰 힘을 보탰다.
지역 정치권의 발 빠른 정치적 대응과 대구시 의회의 유치지지, 지역 언론사들의 지역균형발전 등 지역유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도 빛을 발했다.
박정수 kiho3217@naver.com
[경북신문=박정수기자] 사업비 3000억원 규모의 대형 국책 사업인 '국가 로봇 테스트필드' 부지가 대구로 결정됐다.
대구시는 '국가 로봇 테스트필드 혁신사업' 부지선정 결과 대구시가 사업 최종지역으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이번 혁신사업에 서울·부산·대구·광주·경남·충남 등 6개 광역시도가 치열한 경합을 벌인 결과 최종적으로 대구의 테크노폴리스로 선정됐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 혁신사업은 2023년부터 2029년까지 7년에 걸쳐 총사업비 3000억원을 들여 로봇 데이터 센터구축 및 테스트필드 구축(1600억원)과 서비스로봇 공통기반기술개발(1400억원)를 지원하는 대형국책사업이다.
앞서 이번 사업 전담 수행기관인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지난 6월 21일부터 공정한 사업 부지 선정위해 지자체 대상의 공모 방식을 채택해 선정 과정을 진행했다.
부지선정평가위원회는 "입지조건, 지자체 지원 등 평가 항목 전반에서 대구가 높게 평가했다"며 선정이유를 밝혔다.
손웅희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은 “대구시와 긴밀히 협력해 실제 환경과 유사한 실증 테스트 환경과 디지털화 기반 마련을 통해 초기 국내 서비스로봇 시장의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 국가로봇 테스트필드 구축 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가 대구에 구축되면 로봇기업의 연구개발→실증·규제개선(5G기반 첨단제조로봇실증, 규제자유특구)→테스트베드(국가로봇테스트필드)→사업화지원 등 전 주기 로봇기업 지원체계가 구축돼 명실상부한 로봇산업 중심도시로 우뚝설 전망이다.
시는 국가로봇테스트필드의 활성화와 서비스 로봇산업의 발전을 위해 새로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대구시청 신청사와 도심융합특구를 로봇, 자율주행, AI 등이 융합된 실환경 테스트필드로 제공한다.
또 서비스로봇 실증 경진대회 등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 로봇 비즈니스 모델로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현대로보틱스 등 앵커기업을 중심으로 전·후방 대·중·소 로봇기업 협력 생태계를 강화해 지역 기업의 서비스 로봇 산업 진출을 지원한다.
글로벌 로봇 클러스터(GRC)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해외기업의 국내 유치와 국내기업의 해외 진출 등 성과 창출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시는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사업이 마무리되면, 2030년까지 지역 로봇기업수 662개사, 고용 1만1799명, 매출액 4조1000억원 규모로 성장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국가로봇테스트필드 혁신사업의 대구 유치는 그동안 대구시에서 로봇산업 육성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갖고 로봇산업 생태계 조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것에 대한 열매"라며 "국가차원에서의 인정과 격려에 대해 엄중한 책임감을 느끼며 국가의 로봇산업 발전에 경북과 상생협력을 통해 기여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로봇산업 육성을 위해 한국로봇산업진흥원유치(2010년), 로봇산업클러스터 조성(2012~2017년), 현대로보틱스 유치(2017), 글로벌 로봇 클러스터(GRC)구축 및 사무국유치(2018), 5G기반 첨단제조로봇 실증센터 구축(2020~2023),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2020년 7월~)를 추진했다.
또 로봇산업 시장창출 및 부품경쟁력강화 사업(2015~2019, 188억원), 로봇산업 가치사슬 확장 및 상생시스템 구축(2020~2024, 267억원)을 전액 시비로 추진하는 등 앞서 구축된 인프라와 로봇산업 생태계 조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시는 국가로봇테스트필드 혁신사업 유치를 위해 홍의락 경제부시장을 단장으로 유치계획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로봇테스트필드 혁신사업의 대구 유치를 위해 산·학·연·관 일심동체로 함께 뛰었다.
50억원을 출연한 현대로보틱스와 아진엑스텍 등 360여개 넘는 로봇관련 기업·기관들의 참여협력과 함께 경북도의 전폭적인 지지의사 표명과 달성군의 지방비 20억원의 출연은 대구시의 유치 추진에 큰 힘을 보탰다.
지역 정치권의 발 빠른 정치적 대응과 대구시 의회의 유치지지, 지역 언론사들의 지역균형발전 등 지역유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도 빛을 발했다.
박정수 kiho3217@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